일단 이 기사부터 다시 링크를 하고
인구의 30%가 접종을 했는데 나머지 70% 인구는 이제 슬슬 백신 접종에 대한 관심이 시들하다 이 소리가 아닌데여?
"현재 이스라엘 정부가 정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는 35세 이상 성인과 16∼18세의 청소년이다."
고등학생을 제외한 35세 이하 인구가 접종 대상에서 빠졌음.
일단 이 통계가 맞는지 확실하진 않은데 여길 보면 이스라엘 평균 연령이 30세임. 참고로 한국은 42세임. 그리고 저 통계에서 0세에서 29세까지 인구를 합하면 430만명 정도가 나오고 이 인구가 이스라엘의 약 절반 정도 됨.
즉 접종 대상이 전 인구의 약 50% 정도이고 이 중에 60%가 이미 접종을 했다는 말인데 접종 스케줄을 미루는 사람이 슬슬 나타나기 시작하는게 당연한 시점이 맞는데?
아무리 세계가 코로나의 공포에 떤다고 해도 코로나에 대한 개인적 관심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고 누군가는 당장 백신을 맞지 않으면 무서워서 살 수가 없을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내일 당장 코로나로 세상이 망한다고 해도 관심이 없을 수도 있음.
코로나 백신 맞는 것보다 다른 사정이 급한 사람들이나 게으른 사람들, 혹은 개인적 신념에 의해 백신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접종 일정을 미룰 수 있는 만큼 미룰 수 밖에 없고 이제 그 사람들을 슬슬 보건소로 멱살 잡고 끌고 와서 접종을 해야 된다. 그냥 이거 이상도 이하도 아닌데요?
1등 로또도 가끔 수령자가 안 나오는 판인데 코로나 백신을 한 나라의 모든 인구가 무조건 적극적으로 접종을 시도할거라는 가정이 어떻게 나오는건가요?
덧글
미접종자에게 공공서비스를 제한한다는 강수를 두겠수?
생각보다 둔화가 심해져서 강제력도 사용하고 신문기사도 나오는거지
별 일 아닌 일이면 이스라엘 소식이 여기까지 들릴 일도 없음
아 물론 유태인 근성 어디 못 간다고 그냥 폐기되는 백신이 아까워가지고 그나마도 못 견디고 아 닥치고 맞으라고
이러는 거였다 말하면 아 인정이지 할 수 있음
이스라엘에서 확진자가 급감하는게 이유가 될 수도 있을거 같아요. 주변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눈에 띄이게 줄어드는걸 보는 사람들은 아무래도 이전 사람들처럼 빨리 맞지는 않겠죠.
이스라엘은 이미 백신효과를 보고있는 나라입니다. 한방도 못맞은 나라와 비교하는게 웃기죠.
부작용 보도 영향도 있겠죠. 현재까지의 뉴스 취합으로는 부작용의 비율이나 강도가 인플루엔자백신보다는 명백히 높은 걸로 보이는데 그 정도의 불편함도 싫어서 백신 안 맞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으니 말입니다.